예올과 샤넬, 올해의 장인과 젊은 공예인이 만든 새로운 전통
과거와 미래를 잇는 종이와 금속의 만남이 예올 X 샤넬 프로젝트에서 이뤄졌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자연은 언제나 스스로 그러하듯 공예 또한 본질을 잃지 않고 흐릅니다. 그 흐름 속에서 한국 공예를 꾸준히 후원해 온 비영리 재단법인 예올과 샤넬이 올해도 전통과 미래를 잇는 길을 엽니다.‘예올 X 샤넬 프로젝트: 올해의 장인, 올해의 젊은 공예인’은 2022년 시작해 4년째 이어진 예술적 협업인데요. 2025년 ‘올해의 장인’으로 지호장 박갑순, ‘올해의 젊은 공예인’으로 금속공예가 이윤정이 선정됐습니다.

(좌측부터) '올해의 젊은 공예인'과 '올해의 장인'으로 나란히 선정된 금속공예가 이윤정, 지호장 박갑순.
예올 X 샤넬 프로젝트는 매년 장인과 젊은 공예인을 발굴해 전통의 가치를 지키면서도 미래와 연결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예’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장인, ‘올’은 현재와 미래를 잇는 젊은 공예인을 뜻하죠. 선정 작가들은 작품 기획부터 제작, 배포까지 전 과정을 지원 받으며 전통 공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제시하는데요. 샤넬 역시 장인 정신을 계승하는 브랜드 철학을 바탕으로 예올과 뜻을 같이하며 꾸준히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올해의 장인과 젊은 공예인의 협업 결실은 오는 8월 21일부터 10월 11일까지 예올 X 샤넬 프로젝트 전시 <자연, 즉 스스로 그러함>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아키텍처럴 다이제스트'가 세계 100대 디자이너로 꼽은 양태오 디자이너가 전시 총괄 디렉팅과 작품 협업에 함께 참여해 공예와 디자인이 어우러진 무대를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자연이 건네는 치유와 삶에 대한 통찰을 공예의 언어로 풀어낸다고 하는데요. 지호장 박갑순의 종이, 이윤정 작가의 금속이라는 상반된 소재로 흐름과 조화가 강조된 자연스러움의 미학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올해의 장인' 지호장 박갑순은 1999년 전통 한지공예를 접한 뒤 지호 공예에 천착해 왔습니다. 지호 공예는 한지와 풀을 배합해 종이죽을 만들고 틀에 여러 겹을 덧붙여 생활용품을 만드는 전통 공예 기법 중 하나인데요. 낡은 고서, 자투리 한지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업사이클링 공예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장인은 전통 민화에서 영감을 받아 빚어낸 동식물 형태의 기물 작품들을 통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조화로운 삶의 태도를 전합니다.





한편 '올해의 젊은 공예인'으로 선정된 금속공예가 이윤정은 금속을 소재로 일상에 늘 존재하지만 주목받지 못한 것들을 탐구합니다. 못처럼 작은 개체를 소재로 작업하는 작가는 예올 X 샤넬 프로젝트를 통해 ‘녹은 금속’인 주조를 심도 있게 연구했는데요. 주조 작업의 모든 과정을 직접 수행해 제작한 주석 가구를 이번 전시에서 선보입니다. 금속이 가진 차가운 이미지 대신 유연하고 부드러운 작품을 발견하고 감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전통 공예 기법 중 하나인 지호 공예에 천착해 온 '올해의 장인' 박갑순.

금속을 소재로 일상 속 작은 것들을 탐구하는 '올해의 젊은 공예인' 이윤정.
지호장 박갑순의 종이와 이윤정 작가의 금속, 서로 다른 두 물성은 이번 공동 전시에서 흐름과 조화라는 이름으로 하나가 됩니다. 바로 이 지점이 예올 X 샤넬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바와 맞닿아 있죠. 과거와 현재를 잇는 장인, 현재와 미래를 이어갈 젊은 공예인 그리고 내일을 향한 이 연결 속에서 공예는 자연스럽게 새로운 전통으로 거듭납니다. 2025 예올×샤넬 프로젝트 전시 <자연, 즉 스스로 그러함>는 10월 11일까지 예올 북촌가에서 열립니다.
Credit
- 사진 샤넬
2025 가을 필수템 총정리
점점 짧아지는 가을, 아쉬움 없이 누리려면 체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