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S
노벨상이 한강에게 메달을 안기며 한 말들의 울림
엄숙하고 아름답던 순간.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현지 시각으로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는 '2024 노벨상 시상식'이 거행됐습니다. 앞서 알려진 수상자들은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상 메달과 증서를 받았는데요. 이 자리에는 아시아 여성으로서, 한국인으로서 처음으로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된 작가 한강도 자리했습니다.
이날 스웨덴 아카데미 위원이자 작가인 엘렌 마트손은 정식으로 한강을 호명하기 전 수상 연설을 했어요. '한강 세계관'에 대한 그의 엄숙하고 아름다운 평은 커다란 울림을 선사했습니다. 먼저 엘렌 마트손은 "한강의 작품에서 두 가지 색, 흰색과 붉은색이 만난다"라고 말문을 열었습니다. 흰색은 한강의 작품 속 눈으로 내려서 화자와 세상 사이 보호막을 드리워 주다가도, 슬픔과 죽음으로 모습을 바꾼다면서요. 또 한강의 소설에서 붉은색은 생명을 상징하지만 고통과 피, 칼로 깊게 베인 상처를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강의 목소리는 매혹적이고 부드럽지만 차마 형언할 수 없는 잔혹함과 회복될 수 없는 상실을 말한다"라고 했습니다. 마치 한강의 세계 속 흰색과 붉은색처럼요. 위원은 "흰색과 붉은색은 작가가 소설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다루는 역사적 경험을 상징한다"라고 짚기도 했어요.
그러면서 작가의 소설 속 장면들을 언급한 엘렌 마트손은 "빛이 희미해지며 죽은 자들의 그림자는 벽 위를 계속 맴돈다.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으며 그 무엇도 끝나지 않는다"라는 마지막 말과 함께 한강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그렇게 18번째 여성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된 한강은 시상식 후 열린 연회에서 "가장 어두운 밤에도 언어는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묻고, 언어는 이 행성에 사는 사람의 관점에서 상상하기를 고집하며, 언어는 우리를 서로 연결한다"라며 "문학작품을 읽고 쓰는 일은 필연적으로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하는 일"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날 스웨덴 아카데미 위원이자 작가인 엘렌 마트손은 정식으로 한강을 호명하기 전 수상 연설을 했어요. '한강 세계관'에 대한 그의 엄숙하고 아름다운 평은 커다란 울림을 선사했습니다. 먼저 엘렌 마트손은 "한강의 작품에서 두 가지 색, 흰색과 붉은색이 만난다"라고 말문을 열었습니다. 흰색은 한강의 작품 속 눈으로 내려서 화자와 세상 사이 보호막을 드리워 주다가도, 슬픔과 죽음으로 모습을 바꾼다면서요. 또 한강의 소설에서 붉은색은 생명을 상징하지만 고통과 피, 칼로 깊게 베인 상처를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강의 목소리는 매혹적이고 부드럽지만 차마 형언할 수 없는 잔혹함과 회복될 수 없는 상실을 말한다"라고 했습니다. 마치 한강의 세계 속 흰색과 붉은색처럼요. 위원은 "흰색과 붉은색은 작가가 소설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다루는 역사적 경험을 상징한다"라고 짚기도 했어요.
그러면서 작가의 소설 속 장면들을 언급한 엘렌 마트손은 "빛이 희미해지며 죽은 자들의 그림자는 벽 위를 계속 맴돈다.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으며 그 무엇도 끝나지 않는다"라는 마지막 말과 함께 한강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그렇게 18번째 여성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된 한강은 시상식 후 열린 연회에서 "가장 어두운 밤에도 언어는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묻고, 언어는 이 행성에 사는 사람의 관점에서 상상하기를 고집하며, 언어는 우리를 서로 연결한다"라며 "문학작품을 읽고 쓰는 일은 필연적으로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하는 일"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Credit
- 에디터 라효진
- 사진 GettyImages
2025 가을 필수템 총정리
점점 짧아지는 가을, 아쉬움 없이 누리려면 체크하세요.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엘르의 최신소식